반응형 일반적으로 암호화폐는 채굴자들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한 채굴자가 51%이상의 해시파워를 독점하는 경우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비트코인과 같이 채굴 경쟁이 심하고 채굴 비용이 높은 코인의 경우, 51%이상의 해시파워를 독점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자금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실상 51% 공격을 입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 하지만 채굴 경쟁이 심하지않은 암호화폐들의 경우는 다르다. 거대한 자금력을 가진 특정 세력이 51%이상의 해시파워를 독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아직까지 시중의 암호화폐 중 51% 공격에 의해서 블록체인이 붕괴된 사례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렇게 51% 공격을 당하게 되는 순간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장부가 조작되었다는 점을 즉시 인지할 수 있어서다. 51% 공격에 의해 해당 블록체인의 장부가 왜곡되었다고 알려지게 되면, 순식간에 암호화폐의 가치가 폭락하게 되어 공격자들 역시 금전적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된다. 따라서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51% 공격의 파괴력은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51% 공격을 시도하는 순간 역설적으로 해킹한 암호화폐의 가치가 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일반적인 네트워크의 해킹 빈도나 위험성에 비교하자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안전성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편이다. 반응형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DOHk's DevLog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Research > 금융,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평균법(EMA) 개념 (0) 2018.12.20 가상화폐의 본질 (0) 2018.12.20 블록체인 개념 (0)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