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N
·
Development/Network
Software Defined Networking 기존의 스위치 속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쓰지 않아도 되는 기법 즉 스위치의 역할을 SDN이 삽입된 기기(?)가 대신하여, 전체 노드들의 상황을 파악하여 패킷의 경로를 알려준다. 오픈소스라 비용도 절약된다. ONOS방식과 ODL(?)방식이 있다. Open Network Operating System(?) Open D… Lite
RDP
·
Development/Network
Remote Desktop Protocol TCP port ; 3389를 기본으로 사용함 원격지의 PC를 켜서 작업 가능. 끄기도 가능 http://lsh0452.tistory.com/entry/%EC%9B%90%EA%B2%A9-%EB%8D%B0%EC%8A%A4%ED%81%AC%ED%86%B1-%EC%82%AC%EC%9A%A9%ED%95%98%EA%B8%B0-1%EB%B6%80 https://extrememanual.net/8265 https://extrememanual.net/6828
network, ifconfig 설정(두 대의 컴퓨터 간 네트워크 구성)
·
Development/Network
슬레이브04는 인터넷 연결이 없고, 슬레이브05는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레이브05를 통해 슬레이브04로 ssh 접근이 가능하게 하고 싶다. 따라서 슬레이브05에는 이더넷이 두 개 연결되어 있는 것.(하나는 공유기, 하나는 슬레이브04) 이 상황에서의 설정을 살펴보자. 먼저, 슬레이브04에서 다음과 같이 한다. ifconfig로 연결된 이더넷의 인터페이스 이름을 복사한 후,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auto 인터페이스명 iface 인터페이스명 inet static address 10.0.0.4(슬레이브04의 ip) netmask 255.255.255.255 gateway 10.0.0.5(슬레이브05의 ip) up route add -net 10.0.0.5 netmask..
MQTT
·
Development/Network
MQTT는 Publish/Subscribe(Pub/Sub) 메시징 프로토콜이다. publisher와 subscriber 사이에 broker 역할을 하는 게 필요한데, 그 역할을 CloudMQTT(https://customer.cloudmqtt.com/instance)가 한다. MQTT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을 쓰지 않는 디바이스들 또는 저전력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받거나 전송할 수있도록 MQTT Broker를 둔다. 그래서 IoT환경에서 쓰기 적합하다.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기기에 MQTT broker를 설치하거나 혹은 중앙에 있는 MQTT broker에 bind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