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lback으로 받은 값 사용하는 법
·
Development/javascript
callback을 통해 받은 값은 useState를 이용하여 실제로 쓸 수 있는 값으로 저장해야 함 const onFilterChange = (filter) => { const { value } = filter; } value가 필요한 상황 const [receivedValue, setReceivedValue] = React.useState(''); const onFilterChange = (filter) => { const { value } = filter; setReceivedValue(value); } 위와 같이 receivedValue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서버, 클라이언트, 프로토콜, 통신, 웹 표준
·
Development/WEB
서버(Server)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Service Provider) 클라이언트(Client) 서비스를 받는 컴퓨터(Service User). 웹 브라우저가 대표적이다. 통신 규약 또는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 컴퓨터끼리(서버와 클라이언트끼리) 서로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만든 공통의 약속(프로토콜)이다. 대표적으로 HTTP, HTTPS, FTP 등이 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서버가 이에 대한 응답으로 웹 페이지를 보내는 식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하게 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단일 컴퓨터 내(로컬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고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개념적인 구분이다. 웹 표준 다양한 브라우저에 대응하..
메소드 체이닝
·
Development/javascript
체인 형식의 메소드 연결을 말한다. const a = ‘Hello~’; const b = a.split(’’); const b = a.split(’’).reverse(); const b = a.split(’’).reverse().join(’’); split → reverse → join 순으로 실행된다.
보간법
·
Development/javascript
element-${} 위와 같이 달러 표시와 중괄호를 사용하는 것을 보간법이라 한다. 보간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backtick 기호(`)를 사용해야 한다. `element-${}` div element 1 div element 2 div element 3 div element 4 div element 5 const divElems = document.querySelectorAll('.div'); divElems.forEach(function(item, index) { console.log(`item index: ${inde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