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atom)
·
Research/화학
더 이상 분해될 수 없는 물질 셀 수 있다. example 수소 원자 네 개 원자의 크기와 질량 원자핵의 크기 원자핵의 지름은 원자 지름의 1만분의 1이다. 이는 대략 10^(-10)m의 크기이며, 이를 특별히 1 옴스트롱이라고 부른다. 원자의 반지름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양성자의 개수이다. 양성자가 많을수록 전자를 더 강하게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요인은 전자껍질의 개수이다. 세로 축을 족, 가로 축을 주기라고 한다. 족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 수록, 원자 반지름이 작아진다. 이는 양성자의 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주기가 위에서 아래로 갈 수록, 원자 반지름이 커진다. 이는 전자껍질의 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전자가 양성자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이다. 원자 반지름에 의하면, period..
주기율표(Periodic table)
·
Research/화학
H He Li Be B C N O F Ne Na Mg Al Si P S Cl Ar K Ca # 원자번호와 최외각전자 쉽게 외우는 방법 원자번호는 4 by 4 테이블을 이용해 머릿속에 넣되, (1,1)의 자리가 3부터 시작하여, 3, 7, 11, 15라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 원자번호를 기억하면, 최외각전자는 (2,4)번째 칸까지는 원자번호 -2, 나머지 (3,1)부터 (4,4)번째 칸까지는 -10을 하면 된다. # 원자번호, 최외각전자, 전자배치, 오비탈 도표 이 네 개를 한꺼번에 외우는 것이 도움이 된다.
MacOS에서 iCloud의 절대경로는?
·
Development/Apple
작성일(2020.01.06) 기준 /Users/사용자이름/Library/Mobile\ Documents/com~apple~CloudDocs 알아내는 방법 - jupyter notebook을 사용해서 알아내려고 했으나 알아낼 수 없었음 - PyCharm이나 VSCode를 이용하여, 해당 IDE의 terminal을 이용한다. - 제일 쉬운거는 iCloud를 Finder로 접근하여 아무 폴더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맨 아래에 있는 [서비스]->[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터미널이 뜨면, "pwd"를 입력하여 해당 폴더를 포함한 iCloud의 절대 경로를 알아낼 수 있다. 흐흐.. 이제 iCloud를 이용해서 코딩 작업이 가능해질 것 같다. Dropbox에 비하면 개똥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일지라도 ..
algorithms/배열(array)
·
Development/Algorithms
배열이란, 데이터 하나하나를 인덱스(index)에 대응시킨 데이터 구조다. 이 때, 배열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인덱스에 따라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나열된다는 특징이 있으며, 인덱스를 이용해 곧바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순서가 중요한 데이터를 배열에 담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순서가 중요한 데이터의 대표는 string이다. ‘computer’라는 단어를 배열에 저장한다고 할 때, c-o-m-p-u-t-e-r의 순서로 저장되는 것이 옳다. 이럴 경우 배열이 적합하다. 각각의 배열 요소에는 인덱스가 붙는데, c는 인덱스 0, o는 인덱스 1과 같은 식으로 인덱스가 부여된다. 파이썬에서는 list가 배열로서 기능한다. 파이썬의 list는 배열 자료구조 그 자체라고 보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