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5 포트포워딩 서비스포트란, 하나의 컴퓨터에서 S/W등을 구동하고 있을 때 구분하기 쉽게 하도록 지정해 놓은 꼬리표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내 컴퓨터에서 A라는 서비스를 구동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내 컴퓨터의 IP는 192.168.1.100이라고 할 때, A라는 서비스에 접속 할 때에는 특별한 문제는 없지만 B라는 서비스를 같이 사용할 때 IP만 사용해서는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것인지 구분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A라는 서비스에 1번이라는 번호를 부여하고 B라는 서비스에 100이라는 번호를 부여한다. 서비스 포트를 입력할때에는 "IP주소:서비스포트 숫자" 라는 방식을 사용한다. A라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을 때, 192.168.1.100:1이라고 쓰면, A라는 서비스를 지칭하는 것이고, 192.168.1... 2018. 12. 18. 외부에서 내부 IP로 접근하게 하려면 외부에서 내부 IP로 접속하고자 하는 상황이라면? 예를 들어, 공인 IP가 218.150.183.221인 AP에 192.168.0.3인 PC가 물려있다고 할 때, 해당 PC를 외부에서 접속하게 하려면 어떡해야 할까? 답은 포트를 뚫으면 된다. 외부에서 218.150.183.221 그리고 포트 번호를 적어준다. 그럼 내부에서는 외부에서 요청한 포트를 192.168.0.3에게 되돌려주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해 IP time에서 포트 포워딩을 해야 한다. 포트포워딩 시, 외부에서 들어오게 하려는 포트 번호와 내부에서 처리하려는 번호가 아마 달라야 할 것이다. 2018. 12. 18. 시크릿 모드 웹 브라우저들은 편의를 위해 여러분이 입력한 정보를 일부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넓게 보면 즐겨찾기부터 로그인 창의 아이디 자동완성 기능 등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접속하는 사이트를 저장해서 일부만 입력해도 접속할 수 있도록 미리 띄워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도 내가 원하지 않으면 필요가 없다. 그래서 다양한 웹 브라우저들은 설정에서 관련 기능을 끌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며, 또는 '시크릿 모드'라 불리는 기능을 제공한다. 영어로 Incognito Mode라고 하는 이 기능은, 브라우저로 하여금 쿠키, 자동완성 기록, 기타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남길 수 있는 흔적을 처음부터 저장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창을 닫는 순간, 그 창에서 입력했던 정보들은 저장되지 않고 모조리 휘발되는 것이다. 한국.. 2018. 12. 18. 네트워크 시험 노트 IT: Information Technology(정보기술). 컴퓨터에 관련된 기술분야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정보통신기술). 컴퓨터와 통신이 결합된 기술 Computer는 Compute(계산하다)와 -er(~을 하는 사람이나 도구, 기계)로 구성된다. 즉 ‘계산하기 위한 기계’다. 컴퓨터의 계산기능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OS나 application)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신기능은 무엇에 의해 생길까? 네트워크(;통신망;통할 통, 믿을 신, 그물 망;연락체계)에 의해 생긴다. 네트워크가 하는 일은 애플리케이션끼리 무엇을 하기 위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한다. ~끼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관여할 것이다. 무엇.. 2018. 12. 18.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