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search21

가측공간과 가측집합 가측 공간이란 가측 집합(可測集合, 영어: measurable set)이라는 특별한 부분 집합들에 족이 부여된 집합이다. 가측 집합이란, 먼저 측도의 개념부터 살펴야 하는데, 측도란 특정 부분 집합에 대해 일종의 ‘크기’를 부여하며, 그 크기를 가산개로 쪼개어 계산할 수 있게 하는 함수이다. 즉 가측 집합이란, 측도의 정의에서 나오는 특정 부분 집합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유한 집합의 원소의 수 · 실수 구간의 길이 · 평면 도형의 넓이 · 3차원 입체의 부피와 같은 셀 수 있는 원소로 이루어진 부분 집합들을 가측 집합이라고 하며 그 집합들의 모임이 가측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즉 가측 집합에는 일정한 크기가 부여되어 있고 그 크기가 가산개로 쪼개어질 수 있어서 계산가능한 상태의 집합을 말하는 .. 2018. 12. 23.
time series data를 predict하는 모델을 만들 때, xgboost가 적합하지 않은 이유 xgboost는 기본적으로 tree-based 모델이다. tree-based 모델들이 가진 단점은 training dataset에서 발견된 값 중 최대값 이상의 값(또는 최소값 이하의 값)을 extrapolate(추론)/predict(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다. 구글 검색 결과,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방법은, 먼저 trend를 remove하거나(즉 detrend화 하거나), series를 stationary하도록 만든 다음 xgboost를 활용해야 한다. xgboost 외에 고려할만한 머신러닝 모델은 무엇이 있을까? 김영송, 양성민, 조서형, 최재혁, "시계열 데이터 분류를 위한 기계 학습 모델 설계 및 성능 비교, “ 2017년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에 따르면, 시계열 데이터의 처리 및 예측을 위.. 2018. 12. 23.
이동평균법(EMA) 개념 이동평균법 In statistics, a moving average (rolling average or running average) is a calculation to analyze data points by creating series of averages of different subsets of the full data set. The EMA for a series Y may be calculated recursively: {\displaystyle S_{t}={\begin{cases}Y_{1},&t=1\\\alpha \cdot Y_{t}+(1-\alpha )\cdot S_{t-1},&t>1\end{cases}}} Where: 2018. 12. 20.
가상화폐의 본질 가상화폐의 본질은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권력이동이다. 정보화 혁명 이후 네트워크 확산에 따른 권력이동이 통화 분야에서 가상화폐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1990년 《권력이동》에서 예견한 대로 통화가 정보를 닮아가면서 상징체계의 즉시적 전달과 보급에 의존하는 초(超)기호경제(super-symbolic economy)의 시대가 도래했다. 실물이 농업사회 ‘제1물결’, 지폐가 산업사회 ‘제2물결’을 상징하며 정보사회에서는 ‘제3물결’의 상징인 ‘디자이너 통화’가 출현하리라는 예측이 오늘날 가상화폐 형태로 나타났다. 블록체인은 특정 기관의 중앙서버가 아닌 개인과 개인의 거래(P2P) 네트워크로 분산시켜 참가자들이 공동으로 자료를 기록하는 것"이라며 "지금은 환자 정보가 모두 병원 중앙서버.. 2018. 12. 20.